[책]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 장 지글러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2005년 기준) 10세 미만의 아동이 5초에 1명씩 굶어 죽고 있다.
비타민a 부족으로 시력을 상실하는 사람이 3분에 1명
세계인구의 7분의 1이 심각한 만성적 영양실조 상태에 있다.
다국적성과 독점성에 대한 충동은 처음부터 자본주의적 생산과정에 존재했다. 하지만 그 충동은 양극구도(냉전체제)가 무너진 뒤에야 비로소 전성기를 맞을 수 있었다.
159.
금융자본은 결코 가치를 창조하지 않는다.160.
161. 북반구와 남반구 살마들은 같은 적을 마주하고 있다. 민족을 초월하여 활동하는, 글로벌화한 금융자본의 과두지배가 바로 그것이다.
165. 원조보다는 개혁이 먼저. / 혁명적인 행동은 인도적인 구호를 뛰어넘는다. 모든 혁명의 목표는 희생자를 능동적으로 행동하즌 자로, 역사의식을 가진 주체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 169. 이에 세계경제의 모든 매커니즘은 한 가지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 한가지 대전제는 바로 기아는 극복되어야 하며 지구상의 모든 거주민은 충분한 식량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국제적 구조가 마련되어야 하고 규범과 협약이 마련되어야 한다.
169. 장 자크 루소는 ‘사회계약론’에서 “약자와 강자 사이에서는 자유가 억압이며 법이 해방이다”라고 썼다. 시장의 완전한 자유는 억압과 착취와 죽음을 의미한다. 법칙은 사회정의를 보장한다. 세계시장은 규범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이것은 민중의 집단적인 의지를 통해 마련되어야 한다.
171. 고통으로 가득 찬 세계에 행복의 영토는 없다.
모든 사람들이 자유와 정의를 누리고 배고픔을 달랠 수 있기 전에는 지상에 진정한 평화와 자유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